팀프로젝트

첫 팀 미니프로젝트 하면서 최종 프로젝트 에 대한 생각과 추측

이영훈닷컴 2024. 6. 26. 12:04
728x90

이 글은 미니 프로젝트 하면서 최종 프로젝트를 대입해본 추측성글과 제 생각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일단 미션 내용은?

= [팀]과 [자신]에 대한 설명 및 MBTI 

= 객관적으로 살펴본 자신의 장점

= 자신의 스타일 협업 스타일 소개

= 우리 팀만의 특징과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

= 우리 팀의 약속

= 팀원들의 블로그 주소

 

이걸 4일 만에 프로젝트를  해야 한다. 

1일에는 강의를 듣고

2일에는 기획을 해야 하고

3일에는 개발해야 하고

4일에는 발표를 해야 한다.

 

우리의 전략은 그냥 검색, 복사, 붙여 넣기 신공으로 커스텀하여 미션에 맞게 작업하며 깃도 전략적으로 충돌 나지 않게 잘 관리 한덕에 시간을 아낄 수가 있었고 팀의 문제점은 없으며 팀워크가 매우 잘 맞아서 다행으로 생각한다.

 

만약 이대로만 팀워크, 팀쉽 좋다면 최종프로젝트 21일도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늘 사람마다 다르고 사람 마다 추구하는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부분들을 생각과 고민을 해보았다.

 

최종 프로젝트는 AI를 활용한 실서비스 론칭서비스 프로젝트이다.쉬는 날 보장한다고 생각하고 총 21일이다.

 

베스트 한 일정 시나리오 일정

09월 23일[월] 기획

09월 24일[화]~ 10월 10일[금] 개발 & 테스트 수정

10월 14일[월] 발표준비

10월 15일[화] 중간발표

10월 16일[수]~10월 18일[금]홍보 및 검증

10월 22일[화] 최종발표준비

10월 23일[수] 최종발표

 

기획은 하루 만에 잡아야 할 것 아니면 그전에 좋은 사람 발견했다면 그 사람과 만나 팀 구성을 미리 이야기 한 뒤 월요일부터 개발에 들어가는 것도 베스트 할 것이다.

 

개발 & 테스트 수정 기간은 아무래도 기획에 따라 변동성은 있겠지만 12일 기간 동안은 매우 짧다.

그래서 기획할 때 거창은 기획보다는 배우걸 토대로 기획하며 작업하는 게 매우 효과적으로 생각한다.

 

중간발표 이후에는 추측이지만 10~20만 원 정도 홍보 및 검증을 위한 작은 돈이 오지 않을까? 

 

홍보 및 검증이 필요하는 이유는 기업마다 취준생 뽑는 기준이 다르다.

기술 스택도 비슷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1만 원 투입으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았는지 검증 데이터 이다면 취업에 도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최종 발표는 사전 OT때 영상 보면 외부 기업도 참관 언급을 하였다.

 

개인적으로 생각한 아이디어를 팀 포트폴리오 같이 쓴다고 생각한다면

최종 프로젝트 23일 이전에부터 PPT준비해서 마음에 맞는 팀원을 미리 찾아 미리 개발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자신이 생각한 어떤 아이템이고 예상되는 기술 스택 리액트, vue, java, 앱개발 등 공유하며 온라인에서 공부하는 수강생이 있다면 먼저 다가와 아이디어 공유하는 자신감 있는 발표가 하거나 아니면 매니저 분들에게 이야기해서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달라고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잘 만든 팀 프로젝트 나의 기준은

기간 동안 함께 개발하면서 이 수업이 완전히 끝날 때쯤 취업할 때 포트폴리오를 수정 없이 바로 제출이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수정이 필요한 부분인지 이 부분이 결정될 것 같다.

 

알고리즘과 SQL 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하지만 오늘부터는 매일 작성 올리는 SQL & 알고리즘은 안 하기보다 정말 시간 날 때 주말에 잠깐 한번씩 풀어보는 방향 아니면 중단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

 

차라리 그 시간에 파이썬 관련 공부를 조금더 해보려고 한다.

예를 들어 지금은 웹 프레임웍 fastapi 하고 있지만 데스크톱 QT도 공부해보고 싶어서이다.

판교역 이며 이 장소는 꼭 이뤘으면 하는 소망을 메모지에 작성하여 붙여 넣는 장소이다.

 

10월 28일까지 열심히 파이썬 공부 해보자 파이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