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 os 32비트만 설치 할수 있는 미니 노트북을 구매 하였다. 1만원
우부투 옛날버전 32비트도 있지만 생각보다 느려서 찾다 찾다 라즈베리파이OS도 있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https://downloads.raspberrypi.com/rpd_x86/images/
rpd_x86-2022-07-04/ 2022-07-04 08:54
1. Tkinter (Python 기본 GUI)
설치 필요 없음 (Python 3.4에 기본 포함)
import tkinter as tk
root = tk.Tk()
root.title("XP에서 실행되는 Tkinter GUI")
label = tk.Label(root, text="Hello, Windows XP!")
label.pack()
root.mainloop()
장점: 기본 제공, 가벼움
단점: 디자인이 올드하고 제한적
Vim (고급 터미널 기반 편집기, GUI 가능)
설치 방법:
sudo apt-get install vim
특징:
터미널 환경에서 강력한 편집 기능
GUI 환경 (gvim
) 설치 가능
GUI 모드 (GVim
) 설치 방법:
sudo apt-get install vim-gtk
Visual Studio Code (구버전, 실험적 지원)
** VS Code 최신 버전은 Jessie에서 설치 불가!** 하지만, 구버전 (VS Code 1.29, 32bit) 설치 가능
설치 방법:
- VS Code 1.29 32bit 다운로드
wget https://update.code.visualstudio.com/1.29.1/linux-deb-ia32/stable -O vscode.deb
- 설치 실행
sudo dpkg -i vscode.deb sudo apt-get install -f
- VS Code 실행
code
** 주의:**
- 최신 VS Code(1.30 이상)는 Debian 9 이상 필요
- Raspberry Pi Desktop x86 Jessie에서는 일부 확장 기능이 제한적
추천 정리
편집기 | GUI 지원 | 경량 | 추천 용도 |
---|---|---|---|
Nano | X | O | 터미널에서 빠른 수정 |
Vim | X (GUI 버전 있음) | O | 강력한 터미널 편집 |
VS Code (구버전 1.29) | O | X | 최신 기능 사용 가능 (제한적) |
** 가장 추천하는 조합:**
- 터미널 작업:
Nano
또는Vim
- VS Code 필요 시: 1.29 버전 설치 (성능 저하 가능)
라즈베리 파이에서 한글 적용 방법
Raspberry Pi OS(Debian 기반)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한글 폰트, 입력기, 로캘 설정이 필요합니다.
** 한글 폰트 설치**
라즈베리 파이에 기본 한글 폰트가 없기 때문에,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KoPub, 나눔 폰트 설치 (추천)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fonts-nanum fonts-nanum-coding fonts-nanum-extra fonts-unfonts-core fonts-unfonts-extra
나눔고딕, 나눔명조, 나눔코딩, 은폰트 등 설치됨
** 한글 입력기 설치**
한글을 입력하려면 ibus-hangul을 설치해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
im-config -n ibus
ibus-setup
한영 전환: Ctrl + Space
설정 창에서 입력기 추가 → Hangul 선택
** 시스템 한글 로캘 설정**
한글 환경을 적용하려면 시스템 로캘을 변경해야 합니다.
로캘 한글 추가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목록에서 ko_KR.UTF-8 UTF-8 선택
기본 로캘을 ko_KR.UTF-8로 설정
적용 및 재부팅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reboot
** 라즈베리 파이 UI 한글 적용**
기본 UI(바탕화면, 메뉴 등)도 한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설정 변경
sudo raspi-config
"Localisation Options" → "Change Locale" 선택
ko_KR.UTF-8 UTF-8 활성화 후 기본 로캘로 설정
** 웹 브라우저 한글 폰트 적용 (Chromium, Firefox)**
웹사이트에서 한글이 깨진다면, 브라우저에서 한글 폰트를 지정해야 합니다.
Chromium 브라우저 한글 폰트 설정
- Chromium 실행
- 설정(Settings) → 글꼴(Customize fonts)
- Sans-serif 및 Serif 폰트를 "Nanum Gothic" 또는 "UnDotum"으로 변경
- 저장 후 재시작
결론: 라즈베리 파이에서 한글 사용하려면?
- 한글 폰트 설치:
sudo apt install fonts-nanum
- 한글 입력기 설치:
sudo apt install fcitx-hangul
- 한글 로캘 설정: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ko_KR.UTF-8
선택 - 라즈베리 파이 UI 한글 적용:
sudo raspi-config
- 웹 브라우저에서 한글 깨짐 해결: Chromium에서 한글 폰트 설정
느낌점 : ** 너무 옛날거 사용하려면 시간을 버려야한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아이패드만 구매만해봐 넌 포멧하고 서버로 ㅋㅋㅋ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모트 워크의 종말과 새로운 변화의 물결 (4) | 2025.03.21 |
---|---|
인기 있는 65% 레이아웃 기계식 키보드, Keychron K6 리뷰 (1) | 2025.03.20 |
일과 마주하는 것이 주는 최대의 이점 (1) | 2025.03.20 |
공사 없이 간단하게 오디오 접지를? ACOUSTIC REVIVE RE-9II 리뷰 (1) | 2025.03.19 |
평범한 사람도 ‘에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 (1) | 2025.03.18 |